학교 급식재료의 잔류 농약 검출 정도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여상규 의원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146개 학교 급식재료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용치를 넘는 잔류 농약이 검출됐다.
지난해 12월 서울 금천구의 한 초등학교에 납품된 부추에서는 카벤다짐이 10.5ppm이나 나왔다.
식약청 허용치인 1ppm의 10배를 넘는 수치다.
경기도 안양시의 모 중학교에 납품된 근대에서는 허용치 0.1ppm의 무려 100배에 가까운 9.96ppm의 엔도설판이 확인됐다.
친환경이라던 급식재료에서도 잔류 농약이 나왔다.
지난해 10월 서울 강남구의 한 초등학교에 납품된 친환경 오이에서 검출된 티아메톡삼 농도는 0.19ppm으로 허용치 0.05ppm의 약 4배였다.
이 친환경 오이는 500여 개 학교에 친환경 식재료를 공급하는 서울시 산하 친환경유통센터가 납품한 것이었다.
여상규 의원은 20일 "학생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학교 급식재료는 정부가 사전에 전수조사를 통해 농약 잔류 여부를 철저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19일에는 한나라당 김학용 의원이 "정부가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친환경 학교 급식재료 4,035건을 조사한 결과 64건에서 농약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친환경 농산물로 인증을 받았다가 농약이 검출돼 행정처분을 받은 건수도 2006년부터 올해 8월까지 1만 4,000건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