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진술과 입단속과 같은 철저한 은폐 속에 자칫 묻힐 뻔했던 윤 일병 사건이 이렇게 알려진데는 한 병사의 용기있는 제보가 결정적이였던 것이다.
의식을 잃은 윤 일병이 앰뷸런스로 실려간 직후인 지난 4월 6일 오후 6시 20분쯤. 본부중대 소속 김 모 상병은 부대 식당 근처에서 불안에 떠는 한 가해병사를 만나며 자신이 교도소에 갈 수도 있겠다면서, 자신들이 수차례 폭행한 뒤 윤 일병이 이상 증세를 보였는데도 꾀부리지 말라며 계속 때린 사실을 털어놨다.
3시간 뒤 흡연장에서 다시 만났을 때 가해병사는 윤일병이 단순히 냉동식품을 먹다 쓰러진 걸로 입을 맞춰 헌병대에 거짓 진술했다면서, 둘만 아는 얘기로 하자고 입단속을 주문했다.
생활관에 돌아온 김 상병은 그러나 윤일병 생각에 잠에 들지 못했고, 한 시간쯤 뒤인 10시 40분, 포대장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이 들은 얘기를 알렸다.
이후 가해병사들은 물론 모른다고 잡아떼던 목격 병사도 진실을 털어놨다.
"단순 질식사"로 묻힐 뻔했던 윤일병 폭행 사망 사건이 극적으로 방향을 튼 순간이다.
"사람이 죽어가는 데 양심에 걸려 도저히 입을 닫고 살 수 없었다"고 김상병은 증언했다.
군 당국은 뒤늦게 김 상병을 포상하기 위한 규정 검토에 들어갔다.
출처: 블로그생각버리기,KB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