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7시30분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이매촌·한신아파트' 정류장에는 지난달 16일 광역버스 입석금지된 이후부터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서 있었다. 줄은 비교적 빠르게 줄어들어 길어도 15분이면 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날 정류장을 통과한 버스 중 3분의 2 정도는 모두 입석 버스였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반응은 여름 휴가철로 출퇴근 승객이 많이 줄어든 데다 경기도가 입석을 탄력적으로 허용하면서 '착시효과'일 뿐이라는데 입을 모았다.
경기도와 서울시 그리고 국토부는 지난달 22일 '이매촌·한신아파트' 정류장에 7대의 중간버스 투입하는 등 추가대책을 마련한 이후 이렇다 할 추가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날 9000번·9001번 버스를 기다린 김모(22·여)씨는 여차하면 달려나가 입석으로 버스를 타는 다른 시민들과 달리 30분 동안 줄을 섰다. 그는 "평소에는 더 이른 시간대에 버스를 이용해 이렇게 줄을 서서 기다려야하는지 몰랐다"면서 "입석으로 타면 안되는 줄 알고 차례가 올 때까지 기다렸는데 너무 오래 걸렸다"고 말했다.
광화문으로 출퇴근하는 박모(31)씨는 "처음보다 혼란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이렇게 입석을 시켜줄 바에야 입석 금지는 뭐하러 시행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